1. 장점
생산성과 비용면에서 장점은 한가지 언어로 Android, IoS 앱을 동시에 개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네이티브 앱에 비하면 실행 속도나 그래픽 퀄리티등이 조금 저하되는 단점이 있는데, 이건 또 나름대로 선택한 이유들이 있을테니 간단하게는 이렇게 비교해보면 될거같고...
리액트네이티브는 단방향 데이터 흐름으로 (마치 리액트처럼) 개발이 기존 네티이브 언어로 개발하기보다는 간단한게 아닌가 싶고,..
대체적으로 리액트 네이티브는 컴파일 없이 (네이티브와 달리) 빠르게 실행될수 있으니, 개발 생산성도 높아질 수 있게 되는것으로 페이스북이 RN을 만든 이유이기도 한걸로 이해했다.
다만, 리액트 네이티브도 표준 자바스크립트와 최신 자바스크립트 사이의 갭(Gap)이 있어서 이 부분을 처리하기 위해 트랜스파일링(Trans Compile)을 처리하기 위해 Babel(바벨, 트랜스파일러)을 채택하고 있다.
기존 자바/안드로이드 생태계에서 자바스크립트 생태계가 커지는 만큼 개발자 수요도 증가하고 있고 몸값도 올라가고 있다고들 한다.
새로운 생태계와 개발환경을 사용하는 네이티브 언어 기반의 앱에 비해 리액트 네이티브로 만들어지는 앱이 빈번한 앱데이트나 짧은 개발주기등을 위한 대안으로 사용될것으로 보이며, 이부분에서 플러터와 비교해보면서 기록을 남기고자 한다.
2. 단점
네이티브 고유한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서, 이럴경우 직접 개발을 하거나 다른 개발자의 도움을 받거나..최악의 경우 포기를 해야할 수도 있다고 한다.
또한 자바스크립트나 리액트를 아는 사람은 빠르게 시작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러닝커브는 그리 높지 않지만, 경험이 없는 자바나 안드로이드에 대해서도 어느정도 알고 있어야 하므로..뭔가 하나를 아는 상태에서 시작하는게 좋지 않을까 한다. 동시에 여러가지 환경을 모두 알거나 익숙해지려면,..이것또한 쉽지 않을 테고,..
리액트 네이티브가 기존의 네이티브 환경의 업데이트나 새로운 버전 배포시 발빠르게 쫓아가지 못한다는 단점도 있을것 같은데, 문제는 리액트 네이티브 자체도 빈번한 업데이트때문에 되려 개발에 나쁜 영향을 주는 경우도 있을수 밖에 없는듯 하다.
그런데, 그거 한가지 확실한건..난, 한가지 언어로 멀티 플랫폼 앱을 개발한다는 부분에 있어서 매료되었고 굉장한 생산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거대한 앱을 만들게 아니라면 리액트 네이티브가 또다른 기회가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선택한게 맞고,..
'Study > ReactNative | 2024'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Native | 개발환경 (2) | 2024.04.16 |
---|